[칼럼] 도로 위 탄소 감축, 전기이륜차가 해답 될 수 있다

M스토리 입력 2025.04.15 16:27 조회수 662 0 프린트
 

 


보조금, 강화·충전 인프라 확대 등 정책적 지원과 인식 변화 필요
전기이륜차 보급이 기대만큼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정부는 2050 탄소중립과 도심 대기질 개선을 목표로 내연기관 이륜차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이륜차 시장은 정체 또는 감소세를 보이며, 전기이륜차 보급도 더딘 상황이다. 그 원인은 보조금 정책의 실효성 부족, 충전 인프라 미흡, 내연기관 이륜차 대비 경쟁력 차이 등 복합적인 요소에서 찾을 수 있다. 하지만 해외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해결책은 분명하다.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함께 소비자들이 자연스럽게 전기이륜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전기이륜차, 어떻게 하면 더 많이 탈까?
우선,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정책을 더욱 실용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현재 일부 지역에서는 보조금 소진율이 3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예산이 충분하더라도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체감하지 못하면 전기이륜차 전환 속도는 더딜 수밖에 없다. 특히 배달업 종사자들이 주요 소비층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구매 비용과 유지비 부담 때문에 전환을 망설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달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보험료 할인 등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전기이륜차가 경제적으로도 유리하다는 점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충전 인프라, 더 쉽게! 더 편하게!
충전 인프라 확대와 배터리 표준화도 시급한 과제다. 전기이륜차 보급이 늦어지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충전 문제다. 전기이륜차는 충전 시간이 길기 때문에 충전소가 부족하면 사용자들은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협력하여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늘리고, 교체형 배터리의 표준화를 추진해야 한다. 일본과 대만에서는 이미 여러 브랜드가 공용 배터리 시스템을 도입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시스템을 도입하면 배달업계의 운영 효율이 높아지고 전기이륜차 전환 속도도 가속화될 것이다.

해외 선진국 사례에서 배운다
유럽과 일본에서는 전기이륜차 보급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네덜란드는 정부가 직접 배달업체와 협력해 전기이륜차를 지원하고, 공용 충전소를 늘리는 정책을 펼쳤다. 덕분에 네덜란드 도심에서는 전기이륜차를 쉽게 볼 수 있다. 일본 역시 대형 배달업체들과 함께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을 운영하며, 전기이륜차 보급을 확대하는 중이다. 대만의 경우, 전기이륜차 제조사와 정부가 손잡고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를 대중화했다. 이처럼 정책적인 지원과 함께 실질적인 인프라 개선이 병행되면 전기이륜차 보급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공공부문이 먼저 움직이면 변화는 빨라진다
공공부문에서 전기이륜차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경찰, 우체국, 공공기관 등이 전기이륜차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운영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민간과 공유하면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다. 유지비 절감 효과, 성능 개선 사례 등을 적극 홍보하면 배달업계 역시 전기이륜차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커진다. 공공부문이 변화의 중심이 되면 민간 시장도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된다.

전기이륜차,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날을 위해
전기이륜차 전환이 늦어질수록 대기오염과 소음 공해 문제 해결도 지연될 수밖에 없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다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시장이 자연스럽게 친환경 전기이륜차로 전환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 이제는 전기이륜차 시대를 앞당기기 위한 보다 과감한 정책적 결단과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M스토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