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기이륜차 보조금 경형 중심으로 크게 줄어

서용덕 기자 입력 2020.03.30 12:12 조회수 8,740 0 프린트

[기사 생성일 2020.02.01.]

올해 전기이륜차 보조금이 지난해와 비교해 차량에 따라 최대 73만원까지 줄어들었다.
환경부는 지난 1월 20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전기차와 전기버스, 전기물차, 전기이륜차 등 ‘2020년 무공해자동차 보급정책 설명회’를 개최하고 보조금 개편 체계를 발표했다.
환경부는 성능과 환경성을 중심으로 무공해차 보조금 체계를 전면 개편했다고 밝혔다. 올해 차량 유형별 최대 보조금은 경형 210만원, 소형 260만원, 중형 290만원, 대형 및 기타형 330만원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최대 보조금이 20만원씩 줄어들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경형 전기이륜차를 중심으로 보조금이 크게 줄어들어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보조금 감소폭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1개 모델이 출시된 경형 전기이륜차는 차종에 따라 보조금이 210만원에서 150만원까지 차등화됐으며, 평균 49만9000원이 줄었다. 지난해 최저 223만원부터 최고 230만원으로 성능에 따른 보조금 차이가 7만원에서 60만원까지 벌어졌다. 가장 많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모델은 동양모터스 빈티지클래식과 시엔케이 듀오로 최대 보조금인 210만원이며, 에코카의 루체가 가장 적은 150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와코의 E6는 189만원으로 빈티지클래식과 시엔케이 듀오에 이어 3번째로 많은 보조금을 받는다. 
상대적으로 출시된 모델이 3종으로 적은 소형 전기이륜차는 지난해와 비교해 보조금 감소폭이 평균 11만3000원 수준이다. 씨엠파트너 썬바이크Ⅱ와 엠엔에스피의 M5000이 최대 보조금인 260만원을 받았으며, 성지기업의 윈드-K1이 지난해보다 17만원 줄어든 234만원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11개 모델이 출시된 대형과 기타형은 평균 보조금 감소폭이 평균 1만3600원이다. 대풍 에코-EV2 319만원을 제외한 모든 모델이 최대 보조금인 33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이번 보조금 개편안에 대해 경형 전기이륜차를 주력으로 판매하는 제조사와 수입사는 예상보다 보조금이 크게 줄어 당혹한 반응이다. 
한 전기이륜차 제조사는 “보조금이 줄어들 것은 알고 있었지만 예상보다 삭감액이 크다. 소비자에게 최대한 부담을 지우지 않기 위해 고민 중이다. 추경을 통해 보급 대수를 늘려준다면 업체들에 큰 도움이 될 듯 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 제조사는 신형 소형 전기이륜차를 출시해 대응할 계획을 밝혔다.
또 다른 전기이륜차 업체는 “보조금 축소 부분을 회사가 감당할 계획이다.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이니 수용하지만 소비자 선호도와 판매량 등도 고려되야 원활한 보급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환경부 정책 발표 이후 대응할 여유가 부족해 영업손실이 커 앞으로는 업체들이 대비할 수 있게 유예 기간을 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업체는 올해 다양한 라인업을 출시해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기이륜차 업계 한 관계자는 “원래 전기이륜차 보조금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방향으로 설계돼 보조금이 줄어드는 것은 당연히 예상됐지만 올해처럼 큰 폭으로 보조금이 줄어드는 것은 제조사의 연구 개발 의지를 꺾을 수 있는 수준”이라며 우려했다.
한편, 환경부는 보조금 체계 개선 이후 시험평가 방법, 배터리 기준 등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서용덕 기자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