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배달용 내연기관 이륜차를 전기이륜차로 전환하기 위해 배달용 전기이륜차에 대해 국비 보조금 10%를 추가하는 등 혜택을 확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배달 시장에서는 전기이륜차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보조금 업무처리 지침에 따르면 환경부는 올해 전기이륜차 국비 320억원을 확보해 전기이륜차 4만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전기이륜차 보조금은 국비와 지방비가 각각 50대 50으로 지급되는 구조로 국비와 지방비를 더하면 올해 전기이륜차 보조금은 총 640억원에 달한다.
기존에는 배달용으로 전기이륜차를 구매하더라도 별다른 혜택이 없고 절차만 더 복잡했지만 올해부터는 배달용으로 전기이륜차를 구매하면 국비 보조금 10%를 더 지급하는 등 배달용 전기이륜차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배달용으로 전기이륜차를 구매한다는 증명도 상대적으로 쉬워졌다. 기존에는 유상운송보험을 6개월 이상 유지하거나 비유상운송보험을 3개월 이상 유지하는 조건으로 가입해야 했으나 올해부터는 실제 운행시간만큼 보험료를 납부하는 ‘시간제 유상운송보험’에 6개월 이상 가입된 상태면 배달용 이륜차 구매를 인정받을 수 있다.
배달용 전기이륜차에 대한 보조금이 예년과 비교해 늘어났지만 배달 라이더들은 전기이륜차를 사용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5월 14일 기준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구매보조금 지급 현황에 따르면 공고물량 9999대 중 접수 대수는 1940대, 배달용 접수 대수는 399대에 그치고 있다.
환경부는 1회 충전 주행거리를 비롯한 전기이륜차 성능 개선에 중심을 두고 있지만 정작 배달 라더들은 성능에는 대체로 만족하는 반면 잦은 고장으로 인한 낮은 신뢰성과 정비 인프라 부족을 더 큰 문제로 꼽았다.
전기이륜차로 배달하는 A 씨는 “정비에 신경 쓸 일이 거의 없고 경형도 110cc급 퍼포먼스를 낼 정도로 성능이 좋은데 진동과 소음이 없어서 장시간 타도 몸이 편하다. 주행거리랑 충전은 문제지만 스테이션으로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하다”며 만족감을 보였다.
또다른 전기이륜차 사용자 B 씨는 “유지비도 적게 들고 성능도 괜찮아 부업으로 하기에는 좋다. 하지만 늘 배터리 용량이 신경 쓰여서 스트레스를 받는다. 전업이라면 충전 시간 때문에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배달 라이더들은 전기이륜차를 꺼리는 이유로 차량에 대한 신뢰성이 낮고 고장 날 경우 내연기관과 비교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을 큰 문제로 꼽았다. 고장이 없는 전기이륜차를 샀다면 다행이지만 운 나쁘게 고장이 잦은 차량을 살 경우 손해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전기이륜차를 선택한 것을 후회한다는 C 씨는 “고장이 너무 잦아 수리받은 게 몇 번인지 셀 수 없을 정도다. 흰 연기를 내면서 멈춘 적도 있고 도로 중간에서 갑자기 브레이크를 잡은 것처럼 울컥하며 서는 바람에 죽을뻔한 적도 있다. 유지비에 혹해 샀는데 잦은 고장 때문에 일을 할 수 없어 손해가 막심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전기이륜차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D 씨는 “전기이륜차는 고장나면 고칠데가 없다. 전기 계통 문제가 아니라 브레이크 패드 교체 같은 간단한 정비조차 가까운 동네 센터에서는 거절한다. 어쩔 수 없이 멀리 있는 지정점에 가야하는데 너무 불편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