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와 달리 이륜차는 운전자가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차량에 탑승한다. 이 때문에 덥거나 추운 계절은 이륜차 운전자에게는 가혹한 시기다. 특히 겨울철 추위로 인한 도로 결빙 상태의 살얼음이나 블랙 아이스 도로에 노출되기 쉽다. 또한 눈이 내릴 때는 자동차와 비교해 스노우 타이어나 스노우 체인 같이 안전을 위한 겨울용 차량용품도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겨울은 이륜차 운전자에게 보다 주의가 필요한 계절이라 할 수 있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노면 상태가 살얼음인 서리나 결빙인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12월과 1월에 결빙 교통사고의 73.2%가 집중되었다. 특히 이륜차의 경우 전체 교통사고와 비교하면 치사율이 약 1.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6시~10시에 전체 결빙사고의 38%가 집중되었으며, 특히 4시~6시 구간의 치사율이 가장 높았다. 도로 종류별로 살펴보면 주행속도가 높은 고속국도, 일반국도, 지방도에서의 사고 특성이 두드러졌다. (도로교통공단 빅데이터)
본격적인 겨울에 접어들면서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혹한의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한파가 지속될 때는 도로가 빙판으로 변하기 쉽고 교통사고의 위험은 그만큼 더 커지기 마련이다.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가 발생하는 블랙 아이스(Black Ice, 도로 살얼음) 현상은 특히 치명적이다. 블랙아이스는 겨울철 비나 눈이 낮 동안 도로 틈새에 스며들었다가 기온이 내려갈 때 다시 얼면서 얇고 투명한 살얼음이 검은 아스팔트 위에 얼어붙는 현상이다. 얼음이 워낙 얇고 투명해 검은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비쳐 보여 블랙아이스로 불린다. 블랙아이스는 비가 내리거나 눈이 내릴 때와 달리 도로가 얼어붙은 것을 운전자가 인식하기 매우 어려워 사고가 나기 쉽다. 지열의 영향을 받지 못하는 교량이나 음영이 있는 터널, 지하차도 등을 통행할 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블랙 아이스 도로는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면서 녹았던 눈이나 비가 얇은 빙판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마찰계수 0.5 이하(일반도로 14배, 눈길 6배 미끄러움)이며 아스팔트 색깔이 투영되어 운전자는 일몰 이후부터는 주행 중에 맨눈으로 식별이 점점 어려워진다. 결빙사고 같은 경우는 기온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오전 시간대나 새벽 시간대 그중에서도 교통량이 많아지는 출근 시간대에 많이 발생한다. 실제 도로실험 결과에 의하면 살얼음 낀 도로에서 시속 50km로 운전하다 멈춰 설 때 마른 도로에선 10m이었던 제동 거리가 얼음이 언 도로에서는 40m까지 4배 더 늘어난다. 특히 이륜차의 경우는 직선 도로보다 굽은 도로가 더 위험하다. 실제로 최근 5년 사이 결빙 도로에서 일어난 교통사고 치사율은 2.3%로 마른 도로보다 1.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륜차는 도로가 얼기 쉬운 시간대에는 평소보다 주행 속도를 줄여 서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차간 안전거리도 유지해야 하며, 조급 운전으로 대형차 옆이나 좁은 공간을 누비는 곡예 운전은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크기 때문에 대단히 위험한 행동으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교량 위나 터널 출입구 혹은 항상 그늘지는 지역같이 기온이 낮고 일반적으로 그늘지는 곳은 도로 살얼음이 먼저 형성된다. 평소 자주 통행하는 도로는 살얼음이 자주 끼는 위험구역을 미리 알아둘 필요도 있다. 최근에는 빙판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상청이 2023년 11월 15일부터 살얼음이 끼었을 가능성이 있는 도로 정보를 내비게이션 업체에 제공하고 있으니 이와 같은 정보를 활용하는 것도 사고 예방에 도움이 된다.
눈이 내리면 제설용으로 뿌려지는 염화칼슘은 공급 부족과 가격 때문에 제설용이 아닌 공업용이 대부분이다. 용해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왕 모래알처럼 도로 위에 알갱이가 남아 눈 녹은 도로에서 마음 놓고 급제동하면 눈길과 같은 미끄러질 위험이 크니 겨울철에는 마른 도로라고 해도 주의하는 것이 좋다. 날씨나 기온의 변화가 심한 계절이 겨울철이기 때문에 항시 기술운전이 아니 정보 운전이 안전하다.
1) 영하의 겨울철 새벽 및 이른 아침 시간대 서행 운전
2) 보온 장구 착용과 타이어 적정 공기압 유지
3) 고가차도, 교량, 터널, 지하차도, 산모퉁이 미끄럼 위험지역 서행
4) 상습 눈, 살얼음 노면 주행 안전거리 유지
5) 커브 길, 급제동·급가속·급핸들 조작 금지
6) 오전, 오후에 기온 날씨 정보를 자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