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정부 예산이 대폭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전기이륜차 시장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올해 전기이륜차 구매 보조금으로 국비 320억원을 확보하고 4만대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상반기에는 1만7667대가 보급분으로 설정됐다. 그러나 올해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이 시작된지 2달여가 지났음에도 상반기 보급 물량 1만7667대 가운데 접수대수가 2146대(1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이륜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보급 물량의 80~90% 정도가 접수됐다.
전기이륜차 구매 보조금 예산 확대와 함께 소상공인 및 취약계층이 전기이륜차 구매 시 해당 이륜차 국비 지원액의 10% 등 추가지원도 가능해졌지만 보급 실적은 지난해를 크게 밑돌고 있다.
지난해와 비교해 전기이륜차 보급 물량과 예산이 크게 늘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오히려 전기이륜차 구매 비용이 높아졌다. 이 때문에 근거리 이동을 위한 일반 소비자의 전기이륜차 수요가 크게 줄었다. 올해 전기이륜차 1대당 지급되는 구매 보조금은 국비와 지방비를 더해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 기타형 270만원으로 경형과 중형, 대형은 지난해와 같고 소형과 기타형만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10만원과 30만원 감소했다. 그러나 실제 모델별로 살펴보면 극소수 모델을 제외하면 10~30만원 이상 보조금이 줄었다.
또한 전기이륜차는 짧은 1회 충전주행거리와 긴 충전시간과 같은 문제뿐만 아니라 잔고장이 많고 정비 인프라가 부족해 생계 목적으로 이륜차를 타는 배달 라이더들도 전기이륜차 구입을 꺼리고 있다. 전기이륜차가 초기 구입비용과 유지비가 저렴하더라도 충전 시간이나 차량 고장으로 수리 받는 시간 등을 생각하면 내연기관 이륜차가 더 나은 선택이다.
한 전기이륜차 업계 관계자는 “전기이륜차는 잔고장이 많은데 수리처는 찾기 힘들고 고치는데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배달 라이더들은 전기이륜차의 완성도가 높아지고 정비와 충전 인프라가 충분히 갖춰지기 전까지는 내연기관을 선택할 것”이라며 배달 라이더에 초점을 맞춘 보급 정책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전기이륜차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워 시장이 얼어 붙었는데 대당 지급하는 보조금이 줄어 큰 타격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비싸고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데다 불편한 전기이륜차를 살 이유가 전혀 없다”며 보조금 정책을 다시 검토해달라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