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전기이륜차 보급규모 올해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될 듯…

M스토리 입력 2021.11.01 13:30 조회수 3,971 0 프린트

환경부 내년 전기이륜차 보급 예산안 국비 180억 편성
올해와 같은 수준으로 약 2만대 보급할 수 있는 규모
세부적인 지급 기준은 이달 이륜차 업계와 조율할 듯

거리에 설치된 공용 충전소를 이용해 충전 중인 전기이륜차.

내년 전기이륜차 보급 규모가 올해와 동일한 2만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에 따르면 2022년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예산안은 올해와 같은 180억원이 책정됐다. 이에 따라 보급 대수도 올해와 같은 2만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예산이 제자리걸음을 한 것은 2016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이 전국으로 확대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환경부는 2016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을 기존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중심에서 전국으로 확대하고 국비 4억5000만원을 편성했다. 이후 2017년 16억8750만원, 2018년 62억5000만원, 2019년 125억원, 2020년 126억5000만원, 2021년 180억원 등 매년 보급사업 규모를 확대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규모는 2025년까지 매년 2만대 규모로 보급하는 것이 확정됐다. 다만 최근 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 등으로 2023년부터 더 확대될 가능성도 있으나 확정된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

내년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예산은 올해와 같이 유지되지만 차량 유형 및 성능에 따른 보조금 최대 지원액 등 세부적인 보조금 지급 기준은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차량 유형 및 성능에 따른 보조금 최대 지원액, 최소자부담비율 등 보조금에 대한 세부사항을 확정하기 위해 이달 중 전기이륜차 제작사 및 수입사를 대상으로 화상회의 방식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를 논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규모는 제자리걸음이지만 전기이륜차 이용 활성화 및 사용환경 개선을 위한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 규모는 대폭 확대된다. 

환경부는 2022년 전기이륜차 배터리교환형 충전서비스 보조사업 예산으로 30억원이 책정하고 총 150기의 배터리 교환형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 환경부가 10억원을 투입해 30기의 배터리 교환형 충전 인프라를 조성한 것과 비교해 사업규모가 3배 확대된다.

환경부뿐만 아니라 산업통상자원부도 전기이륜차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 스테이션 실증사업에 52억3800만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배터리공유스테이션 또는 배터리교환스테이션 등으로 불리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기는 도심 곳곳에 설치된 자판기 형태의 배터리 교환시설을 이용해 운전자가 간편하게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하는 방식이다. 전기이륜차의 약점인 긴 충전시간과 짧은 1회 충전 주행거리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나 아직 국제 표준은 정해지지 않았다. 대표적인 성공 모델은 대만의 고고로다. 국내에서는 디앤에이모터스와 엠비아이 등이 배터리 교환형 충전기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M스토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