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KS표준 강제에 당분간 시장은 혼란

M스토리 입력 2025.04.30 09:05 조회수 129 0 프린트
 

환경부가 전기이륜차용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BSS)과 배터리의 KS표준화를 강력히 추진하는 가운데, 주요 사업자인 쿠루가 KS표준에 합류했다. 그러나 이미 시장에 비(非)표준 BSS가 대거 설치된 상황에서 새로운 KS표준을 강행하면서 전기이륜차 이용자들과 업계 모두 혼란을 호소하고 있다.

쿠루는 기존 BSS를 'O스테이션', KS표준을 적용한 BSS를 'G스테이션'으로 명명했다. O스테이션과 G스테이션은 상호 호환되지 않는다. 쿠루는 당분간 O스테이션과 G스테이션을 병행 운영할 계획이다. G스테이션은 오는 3분기부터 서울과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설치된다.

문제는 이미 수도권에 약 440기의 O스테이션이 설치돼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이들 중 상당수는 정부의 무공해차 전환 브랜드 사업 보조금을 받아 설치됐기 때문에 최소 5년간 운영해야 하며, 의무 기간을 지키지 않으면 최대 70%까지 보조금을 반납해야 한다. 쿠루는 이에 따라 2029년까지 O스테이션 운영을 지속할 계획이다.

하지만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기이륜차 운전자들은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서울 지역에서 전기이륜차를 사용하는 A씨는 "배달 수요가 몰리는 시간대나 겨울철엔 완충된 배터리를 찾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며 "BSS 추가 설치는 없고, 앞으로 G스테이션으로만 간다니 기존 이용자들은 사실상 버려지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업계 역시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 정책의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한 전기이륜차 제조업체 관계자는 "지금까지 많은 비용을 투자한 기존 인프라는 KS표준 도입과 함께 애물단지가 됐다"며 "정부가 표준화를 추진하려면 최소한 기존 투자와 사용자 보호 대책부터 마련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새 KS표준에 맞는 전기이륜차 개발에도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한데, 이에 대한 지원책은 전무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KS표준 도입은 향후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시장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그 이전까지는 상당한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수도권은 O스테이션과 다양한 사업자의 BSS가 혼재해 있어 당장은 배터리 교환이 비교적 수월하지만, 운영 의무 기간 이후 기존 스테이션이 철거되거나 KS표준으로 전환되면서 소비자 선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외 지역은 G스테이션 설치가 예정돼 있으나, 아직 KS표준 대응 전기이륜차가 없어 구매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가격 문제도 여전한 걸림돌이다. 전기이륜차는 유지비가 저렴하다는 점이 강점이었지만, 쿠루는 올해부터 배터리 교환 무제한 요금제를 월 11만 원에서 16만5000원으로 대폭 인상했다. 소량 이용자를 위한 교환 횟수 요금제도 폐지돼 주행 거리가 적은 소비자들은 전기이륜차 구매를 망설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이륜차는 정부 보조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정책 변경은 신중하고 단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의 세밀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M스토리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