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이륜차 보급 추세가 2021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로 돌아서 전기이륜차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정부가 내년 전기이륜차 구매 보조금을 크게 삭감하기로 해 전기이륜차 산업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다. 전기이륜차 업계 관계자들은 전기이륜차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대당 지급하는 보조금 확대와 정책 변화에 따른 차량 개발 및 인증 비용 지원 등 보다 과감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전기이륜차 보급 대수는 2021년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환경부의 전기이륜차 보급 목표 대시 실제 보급 대수는 2020년 2만1070대 중 1만4195대, 2021년 2만4280대 중 1만6858대, 2022년 2만2195대 중 1만4892대, 2023년 2만8663대 중 8183대에 그쳤다.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공개된 전기이륜차 보조금 지급현황에 따르면 11월 중순까지 보조금 접수 대수는 8900여대, 출고 대수는 7100여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기이륜차 보급 초기에는 100만원 이하의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일상적인 근거리 이동을 위한 일반 구매자 수요가 많았다. 그러나 정책의 변화로 배달 라이더 등 상용 이륜차 운전자를 주요 보급 대상으로 설정하면서 일반 구매자 수요가 많았던 경형 전기이륜차에 보조금이 대폭 축소됐다. 경형 전기이륜차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성능이 우수한 소형 전기이륜차에 보조금이 집중됐지만 상용 이륜차 구매자들로부터 외면받았다. 코로나 19 팬데믹 종식 이후 음식 배달 수요가 급격히 감소한데다 현재 판매되는 전기이륜차는 상용 라이더가 원하는 수준의 성능과 신뢰성, 내구성, 정비 인프라 등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전기이륜차 보급 상황이 더 악화될 조짐이다.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도 전기이륜차 보급 대수는 올해 4만에서 절반으로 줄어든 2만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예산도 올해 320억원에서 160억원이 편성되는 것에 그쳤다. 예산 총액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그나마 전기이륜차 업계에서 위안으로 삼을 수 있는 점은 전기이륜차 1대당 지급하는 보조금 기준 금액이 올해와 같은 160만원으로 유지됐다는 점이다.
내년 전기이륜차 보조금 축소에 대해 환경부 대기미래 전략과 관계자는 “(전기이륜차) 보급을 늦추겠다는 것은 아니다. 이륜차 시장 여건과 보급 현황 등을 고려해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이륜차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지만 영세한 중소기업이 많아 정부의 정책 변화를 따라가기에도 다급해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도 쉽지 않다.
전기이륜차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이 워낙 중요한 시장이라 정부 정책에 따라야 하겠지만 차량을 새로 개발하고 새로 인증받는 과정이 너무 힘들고 비용 부담도 크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또 다른 전기이륜차 업계 관계자는 “내연기관 이륜차와 경쟁이 힘든 상황이다. 대당 지급하는 보조금을 늘리지 않으면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