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량 Trellis 프레임은 고품질의 크롬 Molybenum 스틸로 제작됐어 라이더에게 완벽한 신뢰감을 심어준다. 정확한 핸들링을 보장하는 설계를 자랑하며 가로 충격에 대한 비틀림 강성을 높이고 세로 충격에 대한 유연성을 높인 Torsional Rigidity & Longitudinal Flex 프레임으로 라이더가 운행 중 세밀한 피드백을 느낄 수 있게 한다.

13리터 연료 탱크가 내장된 리어 서브프레임은 최적의 중량 분배를 위해 설계 됐다. Thermoplastic Rotational 몰딩 프로세스로 생산된 일체형 구조는 5.2kg에 불과하며 고강도 폴리아미드로 제작됐다.

핸들바에 장착된 맵 샐랙터 스위치를 통해 엔진의 동력 특성(라이딩 모드)을 두 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MODE1은 스포티 맵으로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이 더욱 민감하게 작동하며, 휠 슬립과 윌리를 최대한 제어하는 공도주행용 맵이다. MODE2는 레이스 맵으로 트랙션 컨트롤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매우 공격적인 스로틀 반응성을 느낄 수 있다. MODE2에서는 휠 슬립과 윌리 모두 허용되어 험로 주행과 레이스에 특화된 맵이다.

WP XPLOR 스플릿 포크는 휠 트래블이 250mm로 엔듀로 타입 주행에 특화된 프론트 포크를 사용한다. 리바운드와 컴프레션이 좌우로 나누어진 개방형 카트리지 구조로, 기존의 포크보다 더 나은 댐핑 성능을 보장하며 설정 변경이 용이하고 왼쪽은 압축 댐핑 전용, 오른쪽 레그는 리바운드 댐핑 전용으로 성능을 발현한다. 고성능 WP XPLOR 리어 쇽 옵져버는 Compression 과 Rebound를 완벽하게 조정할 수 있다. 250mm의 리어 휠 트래블은 산길 주행에 적합하며 어떠한 지형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장한다.

701 ENDURO의 SOHC(싱글 오버헤드 캠샤프트) 수랭식 단기통 엔진은 전자 기술을 접목한 최신 기술의 엔진이다. 8,000rpm에서 55kW(74hp)의 최고출력과 6,750rpm에서 71Nm의 최대토크를 발휘하는 초경량 엔진을 장착했다.

컴팩트한 디자인의 SOHC 4-밸브 실린더 헤드는 42mm 흡기 밸브와 34mm 배기 밸브를 갖추고 있다. 이 흡기 배기 밸브는 정교한 로커 암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어 고 RPM 영역에서 정확한 밸브 타이밍을 제공한다. 점화 장치는 듀얼 스파크 플러그 레이아웃을 통해 이루어지며, 스파크 플러그 각각의 점화 타이밍 컨트롤은 rpm과 주행 환경을 계산해 제어되며, 대용량 보어 연소실에서 최적화된 연료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Keihin 전자 연료 분사 시스템은 스로틀 그립과 기계적 연결이 없이 전자신호로만 작동하는 50mm 스로틀 바디를 갖추고 있다. 라이더가 스로틀을 열거나 닫을 때 엔진 관리 시스템(EMS)에 의해 전자적으로 스로틀 밸브를 제어한다. EMS는 엔진 매개 변수를 센서의 데이터와 지속적으로 비교하고 그에 따른 스로틀 밸브를 조정하여 완벽한 출력 제어 및 민감한 스로틀 반응을 구현한다.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된 블랙 D.I.D 림은 701 Enduro 모델의 공격적이고 현대적인 느낌을 더해준다. 701Enduro의 오프로드 엔듀로 성향을 극대화하기 위해 프론트 21인치, 리어 18인치 휠을 체택했다.

Lean-angle(주행 기울기) 감응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은 리어 휠 회전수를 항상 모니터링하여 휠의 회전 속도가 라이딩 상황에 비례하지 않을 경우 즉각적으로(0.001초) 엔진 rpm을 제어한다. 트랙션 컨트롤은 차량의 주행 기울기에 따라 리어휠의 슬립을 최소화하기 위해 끊임없이 개입하여 출력을 제어한다. 트랙션 컨트롤의 개입 정도는 주행 모드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며 라이더가 원할 시 비활성화 할 수 있다.

Bosch의 최신 ABS 기술은 임도주행에 민감하여 엔듀로 주행에 최적화된 고급 설정을 갖추고 있으며 Brembo의 고성능 브레이크 시스템과 조화를 이루어 최적의 제동력과 안전성을 제공한다. 프론트는 직경 300mm 디스크 타입의 2 피스톤 플로팅 캘리퍼 방식이며, 리어는 직경 240mm 디스크 타입의 싱글 피스톤 캘리퍼를 사용한다. 라이더는 최적의 균형잡힌 브레이크 성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ABS기능은 라이더의 선호에 따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