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주의 내일의 풍속] 바이크 타고 떠나는 가을 산행

M스토리 입력 2025.10.17 11:31 조회수 467 0 프린트
 

매년 명절이면 텅 빈 시내 도로를 즐기며 이곳저곳을 달리거나, 아예 날을 잡아 긴 여행을 떠나곤 했다. 하지만 올해는 유난히 긴 추석 연휴였음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주어진 자유 시간은 단 하루뿐이었다. 다음 날 출근을 앞두고 있었기에 순천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가는 길이 아름답고 평탄했으면 했다. 작년 추석엔 바다를 보고 싶다는 마음 하나로 여수로 향했는데, 30분째 이어지던 차량 행렬에 완전히 질려버렸던 기억이 떠올랐다. 물론 바다는 여전히 아름다웠고 갈치조림도 훌륭했지만, 평소라면 40분이면 갈 거리를 두 시간 가까이 걸렸으니 명절엔 유명 관광지는 피하는 게 좋겠다고 결심했다. 이번엔 목적지를 신중히 고르기로 했다. 그때 문득 선암사가 떠올랐다.
 
 
순천 외곽에 자리한 선암사는 늦봄이면 겹벚꽃을 보러 온 사람들로 붐비는 아름다운 사찰이다. 선암사는 조계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그 조계산을 직접 올라보기로 했다. 오토바이로 떠나는 길이라 호남고속도로 대신 22번 국도를 탈 수 있었고, 덕분에 차가 막힐 걱정도 덜했다.

가장 좋아하는 계절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아마도 많은 사람이 가을을 고르지 않을까. 유난히 뜨거웠던 여름이 서서히 식고, 하늘이 높아지며 바람이 달콤해지는 때. 바이크를 타고 조금만 시내를 벗어나면 이렇게 고즈넉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다는 사실에 새삼 감사했다. 평생 살아온 서울을 뒤로하고 무작정 소도시로 이사 온 일이 결코 쉬운 결정은 아니었지만, 이런 소소한 순간마다 그 선택이 옳았음을 느낀다. 
 
 
이른 아침이라 그런지 선암사 주차장은 텅 비어 있었다. 다시 한 번 선크림을 바르고 등산 준비를 마쳤다.

조계산 등산로 중에서는 선암사에서 장군봉을 왕복하는 코스가 가장 짧다고 해서, 첫 등산인 나에게 딱 알맞은 난이도일 거라 생각하며 물병이 든 가방을 메고 길을 나섰다.
 
 
주차장에서 선암사까지 약 1km 구간은 산책로에 가깝다. 한쪽에서 졸졸 흐르는 계곡물과 울창한 나무 그늘 덕에 콧노래가 절로 나왔다. 금목서 향이 가득한 사찰 입구에서 두 손을 모아 오늘 등산을 무사히 마칠 수 있길 빌었다. 
 
 
선암사를 지나 본격적으로 장군봉을 향한 오르막이 시작됐다. 곳곳에 세워진 표지판 덕분에 길을 잃을 걱정은 없었다. 초반에는 “이 정도면 할 만하네” 싶었지만, 점점 가팔라지는 경사와 발 디딜 곳이 전부 돌뿐인 길에 조금 당황했다. ‘이게 맞나? 분명 초보자용이라던데….’ 아침 이슬로 젖은 돌이 미끄러워 몇 번이나 중심을 잃었고, 나처럼 미끄러진 사람들의 짧은 비명이 여기저기서 들려왔다. 
 
 
땀은 비처럼 흘렀고, 심박수는 좀처럼 내려가지 않았다. 그렇게 숨이 턱까지 차오를 무렵, 마침내 정상에 닿았다. 조계산의 정상인 장군봉에는 여느 산처럼 탁 트인 조망은 없다. 그저 정상비 하나가 세워져 있을 뿐. 멀리 풍경을 내려다보려면 배바위로 가야 하지만, 길이 험하다는 말을 듣고는 미련 없이 발길을 돌렸다.

내려오는 길 역시 조심스러웠지만, 오를 때보다는 훨씬 수월했다. 사람들이 등산을 하는 이유가 바로 이 순간, 정상에 섰을 때의 성취감과 하산길의 가벼움 때문이 아닐까. 하산 후 바이크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등산으로 흠뻑 젖은 옷을 시원한 바람이 말려주었다.
 
박형주

본 기사를 끝으로 '박형주의 <내일의 풍속>' 연재가 마무리됩니다.
지금까지 '박형주의 <내일의 풍속>'을 함께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M스토리
맨위로